Code Inside

[Computer Science] 메모리 주소 지정 (Memory Address)- 플립플롭, 레지스터 본문

Computer Science

[Computer Science] 메모리 주소 지정 (Memory Address)- 플립플롭, 레지스터

HongCorin 2022. 11. 6. 20:07
반응형

1. Data 저장

메모리에서 Data 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요소들이 필요하다.

  • 플립플롭(flip-flop)
    • 1 bit 의 정보를 보관, 유지할 수 있는 회로이며 순차 회로(Sequential gate)의 기본 요소이다.
    • 플립플롭은 이전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저장한다.
    • D플립플롭 - Positive-edge-triggered-Flip-flop 으로, 이는 논리 수준이 0 -> 1 로 바뀔 때 동작함을 의미한다.

  • 레지스터(register)
    • 전자공학에서 register 는 여러 의미가 있겠지만, 메모리에서는,
      D플립플롭 여러개가 하나의 패키지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.
    • Clock 을 공유하나 여러 D플립플롭을 한 패키지에 넣은 것이다.
    • D플립플롭의 묶음이기 때문에 여러 bit 를 저장할 수 있다.

 

2. Memory 주소 지정

플립플롭, 레지스터를 이용해서 Data 를 저장할 수 있지만, 훨씬 더 많은 Data 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레지스터를 여러개 사용해야 한다. 그런데, 사용할 레지스터를 지정할 때 각 레지스터를 구분해줘야 한다. 이 때 필요한 것이 주소(Address) 이다.

  • 주소(Address)
    • 각 레지스터에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다. 
  • 기본 메모리 회로
    • 사용할 레지스터를 지정할 때 Address 를 부여하는데 이때 디코더(Decoder)를 활용한다. 
    • 지정한 Address 에 해당하는 레지스터의 출력을 선택할 때 셀럭터(Selector)를 활용한다.
  • 주소 버스(Address bus) / 데이터 버스(Data Bus)
    • 버스(Bus) : bit를 대량 이동시키는 신호이다.

 

 

참고 및 출처

1) 플립플롭 -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4%8C%EB%A6%BD%ED%94%8C%EB%A1%AD

 

플립플롭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R1, R2 = 1 kΩ, R3, R4 = 10 kΩ 플립플롭 또는 래치(영어: flip-flop 또는 latch)는 전자공학에서 1 비트의 정보를 보관, 유지할 수 있는 회로이며 순차 회로의 기본요소이

ko.wikipedia.org

 

Comments